Language/Python
파이썬 정수형과 실수형
Hinos
2020. 12. 13. 18:14
반응형
1. 정수형
정수형은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이며 정수형에는 양의 정수, 음의 정수, 0이 있다.
a = 1000
print(a)
a = -7
print(a)
a = 0
print(a)
2. 실수형
실수형은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 자료형으로 파이썬에서는 변수에 소수점을 붙인 수를 대입하면 실수형 변수로 처리한다. 소수부가 0이거나 정수부가 0인 소수는 0을 생략하고 작성할 수 있다.
실수형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파이썬에서는 e나 E를 이용한 지수 표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. e 다음에 오는 수는 10의 지수부를 의미한다.
a = 159.93
print(a)
a = -1837.2
print(a)
a = 5.
print(a)
a = -.7
print(a)
a = 1e3
print(a)
a = 1e9
print(a)
a = 75.25e1
print(a)
a = 3954e-3
print(a)
a = 0.3 + 0.6
print(a)
// 159.93
// -1837.2
// 0.5
// -0.7
// 1000.0
// 1000000000.0
// 752.5
// 3.954
// 0.89999999999999999...
10진수에서는 0.3 + 0.6이 0.9로 정확하게 떨어지지만 컴퓨터는 2진수로 데이터를 저장 및 표현하므로 같은 식을 계산했을 때 0.89999999처럼 근사치값을 보여준다. 이러한 문제점들은 round() 함수로 해결할 수 있다.
반응형